다른 OS와 함께 쓴다
윈도우 2000을 윈도우 98이나 윈도우 NT 4.0과 함께 쓸 때는 우선 이전의 OS로 켜고 윈도우 2000 CD롬을 드라이브에 넣는다. 자동 수행 기능이 켜있으면 저절로 (1)이 나온다. 자동 수행 기능이 꺼져 있으면 CD롬의 'setup.exe'를 수행해서 (1)로 간다.
클린 인스톨할 때
윈도우 2000 CD롬은 부팅할 수 있는 CD롬이므로 메인보드가 CD롬 부팅을 할 수 있다면 CD롬을 드라이브에 넣고 PC를 껏다가 다시 켜면 된다.
CD롬으로 부팅이 되지 않으면 DOS에서 CD롬 드라이브를 인식시켜야 한다. 여기서 가장 간단한 방법은 윈도우 98에서 만든 시동 디스크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플로피 디스크로 부팅한 다음 윈도우 2000 CD롬에 있는 'i386winnt.exe'를 수행한다.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지 클린 인스톨할 때는 (9)부터 시작한다.
윈도우 2000을 윈도우 98이나 윈도우 NT 4.0과 함께 쓸 때는 우선 이전의 OS로 켜고 윈도우 2000 CD롬을 드라이브에 넣는다. 자동 수행 기능이 켜있으면 저절로 (1)이 나온다. 자동 수행 기능이 꺼져 있으면 CD롬의 'setup.exe'를 수행해서 (1)로 간다.
클린 인스톨할 때
윈도우 2000 CD롬은 부팅할 수 있는 CD롬이므로 메인보드가 CD롬 부팅을 할 수 있다면 CD롬을 드라이브에 넣고 PC를 껏다가 다시 켜면 된다.
CD롬으로 부팅이 되지 않으면 DOS에서 CD롬 드라이브를 인식시켜야 한다. 여기서 가장 간단한 방법은 윈도우 98에서 만든 시동 디스크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플로피 디스크로 부팅한 다음 윈도우 2000 CD롬에 있는 'i386winnt.exe'를 수행한다.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지 클린 인스톨할 때는 (9)부터 시작한다.
·클린 인스톨 또는 CD롬으로 부팅할 때 → (9) |
·윈도우 95/98/NT 4.0에서 인스톨할 때 → (1) |
![]() |
(1) 윈도우 2000 CD롬을 드라이브에 넣으면 OS를 윈도우 2000으로 업그레이드할 것인지를 물어본다. 여기서는 [YES]를 선택한다(업그레이드 인스톨하는 것이 아니다). |
![]() |
업그레이드할 것인지를 물어보는 창이 뜨지 않으면 '윈도우 2000 인스톨'을 누른다. |
![]() |
(2) 셋업 마법사가 시작한다. 여기서는 반드시 'Windows 2000을 신규 인스톨한다'를 선택한다. 만약 'Windows 2000으로 업그레이드한다'를 선택하면 이전 OS를 더 이상 쓸 수 없다. |
![]() |
(3) 라이센스 계약에 동의하는가를 묻는 선택. '동의한다'를 선택하고 '다음'을 누른다. '동의하지 않는다'를 선택하면 깔리지 않는다. |
![]() |
(10) '복구'는 이미 깔린 윈도우 2000에 문제가 생겼을 때 이용한다. 지금은 윈도우 2000을 까는 것이 목적이므로 [Enter] 키를 눌러 다음으로 넘어간다. 클린 인스톨이면 이 뒤에 라이센스 계약 화면으로 넘어간다. 계약서를 읽은 뒤 [F8] 키를 눌러 라이센스 계약에 동의한다. |
![]() |
(11) 키보드 선택. 106 키와 109 키보드라면 '반각/전각' 키를 누른다. 그러면 확인 화면으로 넘어가므로 맞는 키보드인 것을 확인하고 'Y'키를 누른다. ((5)에서 '셋업 중에 인스톨 파티션을 고른다'를 on시켜두었다면 → (12), on하지 않았다면 → (13)) |
![]() |
(12) 윈도우 2000을 깔 파티션을 정한다. 파티션이 여러 개 있다면 각 파티션이 나오므로 파티션을 선택하고 [Enter] 키로 다음으로 넘어간다. 만약 (5)에서 '셋업 중에 인스톨 파티션을 고른다'를 on시켜두지 않았으면 이 화면은 표시되지 않고 C드라이브 혹은 여유 용량이 많은 파티션이 자동적으로 선택된다. 클린 인스톨이라면 반드시 이 화면이 표시된다. |
![]() |
(13) 윈도우 2000을 깔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 설정. 윈도우/95/98/NT 4.0과 같은 파티션에 깐다면 'FAT(또는 NTFS)를 선택하고 파티션을 포맷'을 선택해서는 절대 안 된다(당연히 포맷되므로). 기본적으로 '현재의 파일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변경 없음)'을 고르는 것이 가장 확실하다. 물론 파일 시스템에 대한 지식이 충분히 있다면 NTFS로 바꿔도 상관없다. 파일 시스템 설정이 끝나면 자동적으로 HDD 검사를 시작한다. |
![]() |
(14) HDD 검사가 끝나면 윈도우 2000의 각종 파일을 HDD에 복사하기 시작한다. |
![]() |
(15) 파일 복사가 끝나면 PC를 다시 시작한다고 한다. 플로피 디스크가 들어있다면 뺀다. |
![]() |
다시 시작!! |
![]() |
(16) PC를 다시 시작하면 인스톨러가 GUI모드로 간다. |
![]() |
(17) 인스톨러 시작 준비 화면 |
![]() |
(18) 셋업 마법사가 시작하면 [다음]을 누른다. |
![]() |
(19) '플러그 앤드 플레이'가 되는 장비를 확인한다. |
![]() |
(20) 폴더 설정 화면. 특별히 할 것도 없다. [다음]을 누른면 넘어간다. 참고로 이것은 나중에 바꿀 수 있다. |
![]() |
(21) 이용자 정보 입력 화면. '이름'은 꼭 써야 하고 '회사명'은 생략해도 된다. |
![]() |
(22) 컴퓨터 이름과 Administrator(관리자) 패스워드를 정한다. 패스워드는 매우 중요하므로 잊어버리지 않도록 조심한다(물론 '패스워드 입력 없음'도 선택할 수 있다). |
![]() |
(23) 날짜와 시간 설정 |
![]() |
(24) 네트워크 관계 컴포넌트가 인스톨된다. 셋업할 때 PC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카드(NIC)가 꽂혀 있는지에 따라 이 다음 순서가 달라진다. ·NIC이 꽂혀 있을 때 → (25)로 간다. ·NIC이 꽂혀 있지 않은 때 → (27)로 간다. |
![]() |
(25) 네트워크 설정. '표준 설정'과 '커스텀 설정'이 있지만 일반 이용자라면 '표준설정'으로도 충분하다. IPX/SPX 등의 프로토콜이 필요하다면 커스텀 설정에서 프로토콜을 더한다. |
![]() |
(26) 워크 크룹 또는 도메인 설정 화면. 도메인은 윈도우 NT 4.0 또는 윈도우 2000 Server 이상이 같은 네트워크에 있고 도메인 컨트롤러를 쓸 때 이용한다. 개인이 쓰는 PC에 인스톨한다면 도메인 컨트롤러가 없으므로 '이 컴퓨터는 네트워크 상에 있지 않거나 도메인이 없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다'를 선택한다. 워크그룹 명은 적당히 아무렇게나 넣어도 상관없지만 도메인의 멤버라면 적절한 도메인 명을 입력해야 한다. |
![]() |
(27) 옵션 컴포넌트 인스톨. 여기서도 아무 것도 할 것이 없다. |
![]() |
(28) '시작' 메뉴 설정. 인스톨러가 자동 처리하므로 기다리기만 하면 된다. |
![]() |
(29) 이것으로 인스톨 완료. '완료' 버튼을 누르면 PC가 다시 시작한다. |
![]() |
(30) 윈도우 2000을 처음 시작하면 네트워크 마법사가 수행된다. |
![]() |
(31) 여기서 윈도우 2000을 이용하는 이용자 설정을 한다. NIC가 있으면 이용자 이름과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NIC가 없으면 이용자 이름을 입력할 수 없고 (21)에서 입력한 이용자 이름과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또한 '항상 다음 사용자가 이 컴퓨터에 로그온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를 선택하면 윈도우 2000을 시작할 때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개인 PC에서는 이 설정이 편할 것이다. PC를 여러 명이 함께 쓰며 각각 환경을 구분해 쓴다거나 기업 환경에서는 '이 컴퓨터를 사용하는 데에는 사용자 명과 패스워드를 입력할 필요가 있습니다'를 선택한다. |
![]() |
(32) 이것으로 기본적인 작업은 끝. '완료'를 누르면 윈도우 2000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까지 인스톨하는 데 빠른 PC라면 30분∼1시간 정도 걸리고, 느린 PC라면 그 이상 걸린다. PC가 전체적으로 단순한 구성일수록 인스톨에 걸리는 시간이 짧다. 인스톨 완료! |
![]() |
설치 완료! 윈도우 2000을 처음 시작했을 때의 화면 |
'웹♡디자인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마스터의 지식.웹마스터자격시험[웹마스터] (0) | 2007.01.26 |
---|---|
[sql]mysql 최적화 설계[SQL] (0) | 2007.01.26 |
[windows2000] 기초적으로 알아두어야할것[웹마스터] (0) | 2007.01.26 |
[windows2000]설치 삭제[웹마스터과정] (0) | 2007.01.26 |
[텝제어]탭키의 순서를 바꿀수 있다. 이렇게[자바스크립트] (0) | 2007.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