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운에 관계있는 코 |
|
| |
옛말에 “귀 잘 생긴 거지는 있어도 코 잘 생긴 거지는 없다”라는 말이 있는 데 이것은 코와 재물과는 불가분의 관계를 뜻한다. 인상에서 재운에 관계가 있는 부분은 코끝(準頭)과 콧방울(蘭@廷@), 법령(法領)과 식록(食綠:인중 좌우) 부분과 입(水星), 그리고 턱(地閣)에 붙어 있는 살이다. 이 부분이 전부 반듯하고 잘 생긴 사람은 부자가 될 자격이 있다. 전부가 아니더라도, 한 부분만이라도 완전하면 생활에 곤란을 받지는 않는다.
|
코 끝은 금전에 대한 공격력을 나타낸다. 콧대가 높은 사람은 활동적이고 적극적이며 진취적이다. 콧대가 힘이 있고 놓은 사람은 재산이나 물질을 획득하려는 강한 힘이 있다. 콧방울에는 자기 손에 들어온 돈이나 재물을 내놓지 않으려는 방어력이 나타나있다. 콧방울이 탄력이 있고 힘 있게 덮인 사람은 인내심이 강하고, 더군다나 끈기를 동반하며 극기심마저 갖추고 있는 사람이므로 큰 부자가 될 수 있다. 코끝이 둥굴며, 콧방울 부분에 살이 두툼하게 붙어 있는 이런 유형의 코를 재운코(복코)라고 한다. |
콧방울이 둥글며 살이 많이 붙어 있어도 콧구멍이 너무 크면 지출이 많고, 항상 돈이 들락날락해 잘 모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콧구멍을 돈이 드나드는 곳이라 하여 인상학에서는 일명 ‘재비(財飛, 또는 財費)’ 라고 한다. 따라서 이 콧망울이 얇거나 구멍이 너무 큰 사람은 낭비벽이 있고 금전에 대한 경계심이 결여되어 있어 비밀이 누설이 쉽고 기밀을 지킬 수 없으며. 신용이 없고 방심하며 부주의한 유형이다. 어찌 이런 사람이 재물을 지킬 수 있으며 부자가 될 수 있겠는가? 이런 코를 일면 ‘노주비(露炷鼻)’ 즉, 들창코라 칭하여 빈상의 하나이다.
|
재물복이 없는 코(들창코) | |
재운에 관계있는 코 |
|
| |
|
- 식록이란 윗니를 덮는 부분을 가르킨다. 왼쪽 부분을 ‘식창(食倉)’ 이라 하고, 오른쪽 부분을 '녹창(綠倉)’ 이라 하는데, 이 식창과 녹창을 통털어서 식록이라고 한다. 이 식록은 수입의 유무를 나타나는 곳으로써 일명 ‘노적궁(露積宮)’ 이라고 한다. 다음으로는 양쪽 콧방울에서 식록을 싸고 입가를 거쳐 턱 쪽으로 그어져 있는 두 개의 선을 ‘법령(法令)’ 이라고 한다. 식록이 큰가 작은가는 이 법령이 넓게 뻗어 있는가 좁게 뻗어 있는가에 따라서 결정된다. 법령이 크고 힘있게 벌어져 있으면 식록의 면적이 넓어지고, 법령의 간격이 좁으면 식록의 면적이 작아진다. 다음으로 코에서 입까지의 거리 즉, 인중은 생활에 집착력과 인내심을 나타낸다. 그 거리가 길고 두터운 사람은 모든일에 책임감이 강하고 여유가 있으며, 연구심이 깊고 생활력이 강하므로 자연 풍요로운 생활을 하게된다. |
|
- 법령은 문자 그대로 법정신과 의지력과 직업운이 나타나 있다. 법령이 윤택하고 선이 팔자(八字)처럼 잘 뻗어 있으며 그 선의 끝에 힘이 있는 사람은 무슨 직업에 임해도 의지가 굳고 집념이 강하여 연구심이 있다. 그래서 수입도 증가하며 부하도 많아지고 또, 윗사람으로부터의 인정도 받아서 중년부터 성공하게 되어 말년 운이 형통한다. |
|
- 법령의 전체가 반듯해도 그 선이 끝을 하향해 있고 힘이 없으면 처음에는 수입 운이 있으나 금전에 대해 방심하므로 점차 수입이 감퇴된다. |
|
- 법령의 선이 입으로 흘러들어가는 사람은 의지력이 약하고 사회에서 활동하는 능력이 결여되어 있으며, 항상 자기 장래를 비관적(염세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어 점차 수입이 없어지고 건강도 약해진다. 마음 속에 항상 불평이나 불만을 갖고 있으면 법령이 입쪽으로 흘러들어가게 되며, 심하면 턱쪽으로 힘없이 안쪽으로 수그려 들게 된다. 이렇게 입쪽으로 들어가는 것을 ‘등사(騰蛇)’ 라고 하는데, 이런 형의 법령을 하고 있는 사람은 의심이 많아 사람과 친근해지기 어려우며 신용도 없고, 스스로 고독에 빠지기 쉽다. |
|
- 법령의 왼쪽이 길든지 오른쪽이 짧은 사람<그림 7 ㉱), 또 오른쪽이 길고 왼쪽이 짧은 사람은 의지력이 부족하여 어떤 때는 노력하나 어떤 때는 방심하는 형이어서 주거가 불안하며, 결과적으로 어떤 일정한 직업에 안주할 수 없어 직업을 자주 바꾸기가 쉽다. |
|
- 법령에 힘이 없는 사람은 의지력이 약하고, 법령선의 끝이 둘로 갈라져 있는 사람도 정만 많고 의지가 박약하여 직업의 변화가 많고 실패할 가능성이 많으며 수입운도 좋지 않다 |
|
- 또한 법령의 선이 안쪽으로 흐르는 사은 소심한 사람으로, 모든 일에 우유부단하고 결단성이 결여되어 있어 자기의 지위나 기반이 점차 잠식되는 경향이 있다. |
|
- 법령에 점이나 흉터가 있는 사람은 직업에 불만이 많고 안정성이 없으며, 경계심이 부족하고 의지력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사업 면이나 수입 면에 있어서 파산, 실직, 좌절하기 쉬운 상이다. | |
복운에 관계있는 턱 |
|
| |
|
- 턱은 물질에 대한 여유를 나타낸다. 때문에 턱에 살이 없는 사람은 주거가 불안하며 마음에 여유가 없어 안정을 찾지 못하므로, 금전에 궁핍을 느끼고 사교성도 결여되어 있다. 이런 사람은 모든 일에 성급하며, 수입이 있어도 들어온 즉시 낭비하는 경향이 있다. |
|
- 턱에 살이 두툼하고 윤택한 사람은 극히 명랑하고 재운도 좋다. 인간 관계에 있어서도 낙천적으로 타협과 조화를 잘 이루어 타인으로부터 복운이 굴러 들어오게 되며, 타인의 마음을 미리 알아 상대방을 기쁘게 하며 돈을 얻어내는 수완도 있다. 재미있는 일은 사람에게 생활의 여유가 생기게 되면 자연히 턱에 살이 붙어 점차 복스러운 상이 된다는 사실이다. | |
복운과 관계있는 입 |
|
| |
|
- 아랫입술이 윗입술보다 앞으로 나온 사람은 개성이 너무 강하고 애정도 자기본위여서 사귀기가 어려운 사람이다. 또, 일생 여자로 인해 파산을 하고, 남의 충고를 받아들일 만한 아량도 없으며, 자기의 이익을 위해선 신의를 저버리며 남을 배신하는 일도 서슴지 않는다. 애정에도 진실성이 없으며, 상대방으로부터 애정만을 요구하는 이기주의자이다. 여자는 남편을 믿을 수 없어 직업을 갖는 사람이 많다. 이런 사람은 대개 유년시절에 불행했던 사람이며, 애정이 결핍된 환경에서 자란 사람이 대부분이다. |
|
- 아랫입술이 윗입술보다 힘없이 들어간 사람은 선천적으로 마음이 약해 남에게 이용당하기 쉬운 반면 주체성이 결핍되어 있다. 이언 사람은 독립적인 사업을 피하고 고정적인 월급생활을 하는 것이 좋다. |
|
- 입의 양쪽 끝이 올라간 듯하고 일직선으로 생긴 사람은 모든 사람에게 호감을 사며, 부부간에도 원만하여 명랑한 생활을 계속할 수 있으며, 처음에 가진 신념을 관철할 수 있는 사람이다. |
|
- 활을 잡아당겨 놓은 모양처럼 입끝이 위로 향한 사람은, 선천적으로 정신력이 좋고 기지가 풍부하고 능변가이며 성격도 명랑하여 부귀하게 되고, 중년에 횡재의 복운이 도래하므로 행복한 생활을 하게 된다. 그렇다고 입 양쪽끝이 너무 위로 올라간 사람은 허랑방탕하고 거짓이 많고 말에 진실성이 없다. |
|
- 반대로 입의 양쪽 끝이 하향된 사람은 의지가 박약하고 열등의식이 많으며 성격이 우울하여 늘 고독하게 지내게 된다. 여성은 독신으로 지낼 상이며, 남자는 초혼에 실패하고, 아내의 애정을 받지 못하여, 항상 금전에 고통을 느끼고, 비관적이며 하는 일마다 중간에 결단이 나 끝을 보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사람은 항상 무슨 일을 하던지 신념을 갖고 매사에 목표를 세워 차근차근 시행하고, 낙천적인 생각을 하고 명랑한 성격을 갖도록 노력하면 점차로 입 끝도 따라서 올라가게 된다. | |
복운과 관계있는 이마와 관자놀이 |
|
| |
- 이 관자놀이라 칭하는 곳을 인상학에서는 일명 ‘복덕궁(福德宮)’ 또는 ‘천창(天倉)’ 이라고 한다. 이 부위에 살이 적당히 붙어 있고 풍만하면 상처가 없고 윤기가 있는 사람은, 재복이풍성하고 이재(理財)의 능력이 뛰어나며 형복(亨福)이 있다. 이 부분이 돌출해 있고 살이 두툼하게 붙어 있는 사람은 재산에 대한 경계심이 강하고 낭비가가 아니므로, 결론적으로 재운이 좋다고 할 수 있다.
|
- 이 부위가 들어가 있는 사람은 직선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 자기 의사를 노골적으로 나타내며, 정직하기는 하지만 원만하지는 못하다. 또 성급하므로 사물의 효과에만 신경을 써 오히려 자기 생각대로 잘 되지 않는다.특히 물질에 대한 신중함이 없고, 물질이나 금전에 대해 경시하고 낭비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항상 물질에 쫓기는 사람이 되어 버린다.
|
이 부위, 즉 복덕궁에 적색이나 흑색이 나타나면 현재 금전 운에 막혀 사업과 돈에 쫓기고 있는 증거이며, 이곳에 흉터나 흠집이 있으면 돈이 들어와도 생각지 않은 낭비가 생겨 재산이 모아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흉터나 흠집이 있는 사람은 성형을 하는 것도 개운의 한 방법이 될 것이다. | | | |
복운과 관계있는 귀 |
|
| |
|
- 귀의 생긴 형태도 복운이나 재운, 그리고 인간의 수명에 관계가 있다. 귀는 3등분하여 상부?중부?하부로 나뉘는데, 인상학에서는 상부를 ‘천륜(天倫) 이라 하고 중부를 ‘인륜(人倫)’ 하부를 ‘지륜(地倫)’ 이라 한다. 이렇게 나뉜 귀의 상부는 명예심과 욕망을 나타내며, 중부는 권력이나 지위에 대한 욕망을 나타내고, 하부는 물질이나 금전에 대한 욕구를 나타낸다. |
|
- 평균적으로 우리들이 복귀라고 부르는 금귀[金耳], 수귀[水耳], 토귀[土耳], 기자귀[棋子耳], 어깨까지 늘어졌다고 느껴질 정도의 수견귀[垂肩耳], 점뇌귀[粘腦耳] 등의 귓볼은 꽤 크고 둥글며 살이 많이 붙어 있다. 이러한 귀를 갖고 있는 사람은 물질에 대한 운용이 능숙하고 이재에 뛰어나며, 인정이 많고 사회적인 교섭도 뛰어나므로 대단히 재복이 많아 금전적으로 항상 여유를 갖는다. |
|
- 귀볼이 작은 목귀[木耳], 화귀[化耳], 쥐귀[鼠耳], 화살귀[箭羽耳], 부채귀[扁風耳] 등은 귀의 중 부인 이곽이 튀어나와 있고 귀볼이 없는 돼지귀[@耳] 또는 살이 부드러운 귀등은 재물에 대한 운용부족이나 심리적인 능력 결핍으로 인해 복운을 만나더라도 지키기가 힘들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