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不憤不啓,不悲不發. 擧一隅不以三隅反, 則不復也." (술이편)
子曰 : [不憤不啓, 不 悱 不發, 擧一隅不以三隅反, 則不復也.]
공자의 불분불계 불비불발 거일우불이삼우반 즉불부야 라고 했다.
공자의 교육방법 :
알려고 애쓰지 않거든 가르쳐 주지 말고
표현하지 못해 더듬거리지 않거든 일러 주지 않으며
한 모퉁이를 들어 보였을 때 나머지 세 모퉁이를 알만큼 반응하지 않으면 더는 가르치지 않는다.
어찌 하나 어찌 하나 하고 깊이 생각하지 않는 사람은 나도 어찌할 수가 없다.
교학방법에서 공자는
“배움에 싫증내지 않고 남을 가르침에 게을리 하지 않고(學而不厭, 誨人不倦)”, “발분하지 않으면 계도하지 않고 답답해하지 않으면 일러주지 않으며(不憤不啓, 不悱不發)”,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일련의 교학방법을 형성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분발하지 않으면 계발해 주지 않고, 표현하려고 애쓰지 않으면 일깨워 주지 않으며, 한 귀퉁이를 일러도 나머지 세 귀퉁이를 알지 못하는 자에게는 다시 가르쳐주지 않는 것이니라.”
Alex ---- 여러 Web에서의 상기구절에 대한 의견을 종합해 보았다.
읽는 과정에서 유사성이 있는 '줄탁동시' 가 떠오르는 생각을 억제할 수가 없었다.
오늘은 그리고 왜 그리도 방문객이 많은지... 사진한번 올려본다.
'지식♡창고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환인지 부기지요 환부지인야라. (0) | 2007.06.07 |
---|---|
공자의 9가지 View (0) | 2007.06.07 |
구냥..낙서 홍익인간 <경제/마케팅> (0) | 2007.06.07 |
실패하는 CEO의 특성 (0) | 2007.06.07 |
가슴을 적시는 부처님 말씀 300가지 (0) | 2007.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