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인간관계를 위한 21가지 조언 1. 좋은 인상을 유지하려면? 첫 인상이 아무리 좋았더라도 부정적인 정보를 접하면 쉽게 나쁜 쪽으로 바뀔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열번 잘 하다가도 한 번 잘못하면 나쁜 이미지로 낙인찍히게 됨을 잊지 말아야 한다. 2. 좋아하면 판단할 필요가 없다 사람들은 자기가 좋아하는 사람을 선택한다.. 지식♡창고방 2007.05.14
아들과 아버지의 온전한 관계 만드는 법 세상에는 두 부류의 아버지가 존재한다. 이 시대에 아버지는 크게 두 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자신의 아버지를 극복한 아버지와 그렇지 못한 아버지다. 그런 면에서 사춘기 이전에 아버지가 돌아가신 경우는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아버지의 온전한 모델을 보지 못한 면보다는 극복이라는 과정을.. 지식♡창고방 2007.05.14
남편을 사회적으로 성공하게 하고싶다면 한번 뿐인 인생에서 성공은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운동선수는 유능한 트레이너에 의하여 만들어지듯, 남편의 트레이너는 아내들이다. 바보 온달도 평강공주의 손에 의하여 장군으로 탈바꿈했다. 한번 뿐인 인생, 당신도 평강공주가 될 수 있다.. 01. 언제나 미소를 잃지말라. 그래야 남편의 .. 지식♡창고방 2007.05.14
지혜로운 여성이 되기 위한 20가지 센스 1. 남편이 귀가할 때 산뜻한 모습으로 맞이해라. 남편은 바깥에서 예쁜 여자들을 보고 돌아오는 중이다. 누추한 모습과 비교되지 않게 하라. 2.화장실에 시계와 달력과 책을 두어라. 시간 아끼는 법을 배운다. 3.엉뚱한 이름 - 남편을 아빠라고 부르지 마라. 당신의 남편은 당신의 아빠가 아니다. 남편을 .. 지식♡창고방 2007.05.14
당당하게 사는 좋은 습관 . 사고의 위생을 관리하라. 우리가 생각하는 것이 우리의 운명이 된다. 그러므로 당신이 가지고 있는 깊은 신념과 삶에 대한 당신의 생각을 현미경으로 정확하게 들여다 보라. 당신의 발전을 방해하는 고정관념으로부터 벗어나라. 2. 자책감이여, 안녕~ 잘못한 일에 대해 스스로 비난하기를 멈춰라. 잘.. 지식♡창고방 2007.05.14
고통이 우리에게 남겨주는 선물 『도스토예스프스키』를 위대하게 만든 것은 간질병과 사형수의 고통이었다. 『로트레크』를 위대하게 만든 것은 그를 경멸 덩어리로 만들었던 난장이라는 고통이었다. 『생테쥐페리』를 위대하게 만든 것도 그를 일생 동안 대기 발령자로 살아가게한 평가 절하의 고통이었다. 『베토벤』을 위대하.. 지식♡창고방 2007.05.14
지혜로운 삶을 위한 10가지 人生德目 1. 말(言) 말을 많이 하면 끝내는 필요없는, 쓸데없는 말이 나오게 되어 있다. 양 귀로 많이 들으며, 입은 세 번 생각하고 열라. 귀가 두 개이고, 입이 하나인 이유는 남의 말을 많이 하되, 말수는 줄이라는 의미이다. 2. 책(讀書) 수입의 1%를 책을 사는 데 투자하라. 옷이 헤어지면 입을 수 없어 버리게 되.. 지식♡창고방 2007.05.14
자신을 변화시키는 24가지 要所(A~Z) ♣ Action (행동) - 모든 행동에는 결과가 따른다. ♣ Believe (믿음) - 자기 자신을, 자신의 꿈을 믿어라. ♣ Create (창조) - 자신이 바라고 원하는 삶의 모습을 창조하라. ♣ Discipline (절제) - 자신의 꿈을 위해 집중할 수 있도록 항상 절제하라. ♣ Education (교육) - 교육은 기회의 폭을 넓혀 준다. ♣ Faith (신념) -.. 지식♡창고방 2007.05.14
재치있는 의사 표현과 인생살기 뜻밖의 질문을 받고 대꾸할 타이밍을 놓쳐 뒤늦게 불쾌함을 느낀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것이다. 순발력 양성 지도자인 마티아스 펨은 "순발력은 나의 힘"이라는 저서에서 순발력도 문법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법칙을 익히면 쉽게 배울 수 있다고 한다. 기분 나쁜 말에도 재치 있게 대답하고 협상이나 토.. 지식♡창고방 2007.05.14
링겔만 효과(Ringelman Effect)와 일관성 원리 '링겔만 효과(Ringelman Effect)'와 로버트 치알디니 박사의 '일관성 원리' 독일 심리학자 링겔만은 집단 속 개인의 공헌도를 측정하기 위해 줄다리기 실험을 해봤다. 1대1 게임에서 1명이 내는 힘을 1백으로 할 때 참가자수가 늘면 개인이 어느 정도의 힘을 쏟는지를 측정했다. 2명이 참가하면 93으로, 3명이 .. 지식♡창고방 2007.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