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잴투자조합

펀드에 나오는 파생상품의 정의가 무엇인지

탤런트 2007. 9. 27. 23:10
파생이란 단어를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사물이 어떤 근원으로부터 갈려나와 생김”이라고 풀이돼 있다.파생금융상품이란 ‘파생’과 ‘금융상품’을 합친 말로 주식·통화·금리 등 금융상품에서 파생돼 나온 것이란 의미다.파생금융상품은 눈으로 볼 수 있는 실체가 없이 당사자간의 계약으로 거래되는게 특징이다.

파생상품은 선도(forward)·선물(future)·옵션(option)·스왑(swap)의 4가지를 기본으로 한다. 이 4가지에서 다양한 변형이 나온다.

우선 선도 거래란 미래의 어느 날에 매매하기로 하고 가격·수량 등을 미리 정해놓는 것을 말한다.‘밭떼기’가 바로 이런 종류다.A라는 야채 도매상이 봄에 B라는 농부를 찾아가 가을에 배추를 수확할 때 포기당 1천원에 1만포기를 사기로 계약을 맺었다고 가정해보자.만일 가을에 배추값이 포기당 5백원으로 떨어지더라도 B는 포기당 1천원을 받을 수 있다.물론 배추값이 포기당 1천5백원으로 오르더라도 B는 1천원에 팔아야 한다.즉 선도 거래를 하면 파는 쪽은 가격 하락의 위험을 없애는 대신 가격이 상승할 때의 이익도 포기하게 된다.반대로 사는 쪽인 A는 싸게 살 수 있는 가능성을 포기하는 대신 비싸게 사야하는 위험을 피할 수 있다.

둘째로 선물 거래는 선도 거래와 유사하지만,사적인 계약이 아닌 정식 거래소에서 규격화된 상품으로 거래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앞의 예에선 A와 B중 어느 한쪽이 일방적으로 계약을 위반하더라도 상대방은 법원에 소송을 내는 것 외에 다른 대책이 없다.그러나 선물 거래의 경우는 거래소에서 결제가 반드시 이행되도록 책임을 져준다.

셋째로 옵션 거래는 미래에 정해진 가격으로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것이다.야채 도매상 A가 농부 B로부터 가을에 포기당 1천원에 배추를 살 수 있는 권리(옵션)를 사고,B는 옵션을 파는 대신 포기당 1백원을 프리미엄으로 받았다고 가정하자.가을이 와서 배추값이 포기당 1천5백원으로 오르면 A는 옵션을 행사해서 포기당 1천원에 배추를 살 수 있다.만일 포기당 5백원으로 떨어지면 A는 옵션을 포기하면 그만이다.이 경우 A는 B에게 준 프리미엄만큼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옵션을 행사할지 말지는 전적으로 A(매수자)에게 달려있다.옵션은 두종류로 나뉜다.살 수 있는 권리는 콜(call)옵션,팔 수 있는 권리는 풋(put)옵션이라고 한다.위의 예는 콜옵션의 경우다.위의 예에서 서로 입장이 바뀌어서 농부 B가 도매상 A에게 프리미엄을 주고 가을에 배추를 포기당 1천원에 팔 수 있는 권리를 샀다면 이는 풋옵션 매수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스왑 거래는 ‘맞바꿈’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국제적으로는 81년 세계은행과 IBM간의 거래가 유명하다.세계은행은 금리가 싼 스위스 은행에서 줄곧 돈을 꿔왔는데 대출금의 만기가 돌아와서 연장하려고 하자 스위스 은행에서 이자를 올려줄 것을 요구해왔다.반면 IBM은 미국 은행들로부터는 신통치 않은 반응을 얻었으나 스위스 은행에게는 좋은 평가를 받고 있었다.세계은행은 미국 은행들로부터는 얼마든지 싼 이자로 돈을 빌릴 수 있었으므로 미국에서 달러를 빌린 다음 IBM이 스위스에서 빌린 스위스프랑과 맞바꿨다(스왑 거래).그리고 만기가 됐을 때 서로 상대방의 돈을 갚아줬다.스왑 거래를 활용한 덕분에 세계은행은 낮은 이자에 스위스 돈을 쓰고,IBM은 싼 이자에 미국 달러를 조달한 것이다.

 

파생금융상품의 거래 목적은 기본적으로 3가지로 나뉜다.첫째는 투기(speculation)다.손실 가능성을 감수하고 고수익을 노리는 것이다.예를 들어 향후 주가지수가 올라간다는 판단이 서면 주가지수 선물을 매수하는 식이다.예상이 들어맞으면 이익을 보지만 예상밖으로 주가지수가 하락하면 손해를 보게 된다.

둘째는 위험회피(hedge․헤지)다.예를 들어 A라는 무역회사가 3개월 뒤에 수출대금으로 1백만달러를 받을 게 있다고 하자.그런데 3개월 뒤의 환율은 올라갈 수도,내려갈 수도 있다.이 때 3개월뒤 만기가 돌아오는 달러 선물을 매수하면 환율 변동의 위험을 피할 수 있다.

셋째는 차익 거래(arbitridge)다.예를 들어 1백만달러의 현금을 달러당 1천원의 환율로 산 다음,3개월 뒤에 만기가 돌아오는 선물을 달러당 1천50원에 매도하는 식이다.그러면 환율이 오르거나 내리거나에 상관없이 3개월 뒤 달러당 50원을 벌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