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아 건강을 잘 가꾸는 것은 평생건강의 기틀이 되는 ‘건강한 출발’을 약속하며 이를 위한 잘 계획된 양질의 보건서비스는 개인이나 가족의 안녕은 물론 사회와 국가의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훌륭한 투자이다.
태어나면서부터 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는 생애를 통하여 다른 어느 시기보다도 보건의료 요구도가 높으며, 이 때 적절한 서비스를 받지 못하면 평생을 통하여 돌이킬 수 없는 커다란 장애와 사회적 손실을 초래한다. 또한 넓은 의미로 국제 기준상 아동은 1~17세까지 즉, 전 인구의 1/4 이상(1995년 기준 28.5%)을 포괄하는 큰 집단으로 성장기에 있는 이 연령층에서 많은 건강상 요구도가 있으리라는 점은 쉽게 짐작된다.
|
|
|
(1) 키크는 원리
키가 큰다는 것은 우리 몸의 긴 뼈(다리뼈와 척추뼈)가 자란다는 것을 뜻한다. 긴 뼈는 대체로 원추형으로 되어 있으며 말단부의 연골로 싸여 있는 골단 연골에서 성장이 일어난다.
이 성장선에서 성장호르몬이나 기타 뼈의 대사에 관여하는 호르몬의 작용으로 뼈가 위아래 방향으로 길게 자라게 된다. 키가 크려면 근육과 골격, 결합조직, 신경조직, 피부조직 등이 조화롭게 발육해야만 한다.
대부분 여아는 초경이후 2년 뒤인 14~15세에, 남아는 16~17세에 성장판이 닫혀 성장호르몬이 분비되어도 더 이상 자라지 않는다. 하지만 성장이 완성된 성인의 경우에도 스트레칭 등으로 자세를 바로 잡게 되면 2~3㎝는 더 자랄 수 있다.
|
|
|
(2) 키 크는 데 중요한 영양성분과 식품
키 크는데 중요한 영양성분과 식품으로는 뼈에 영양이 되는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한 식품(두부나 콩으로 만든 식품), 우유와 각종 유제품, 생선류(꽁치와 고등어 등), 시금치, 당근, 귤, 토마토 등이 있다.
1) 칼슘 뼈의 구성 요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칼슘(Ca)이다. 뼈가 단단한 이유는 인산칼슘이라는 성분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칼슘은 치아의 형성에도 필수적이다.
칼슘이 많은 식품은? 생선류(특히 정어리에 가장 풍부), 뼈째 먹을 수 있는 작은 멸치류, 유제품류(우유, 요구르트, 치즈 등), 미역(알칼리성 식품)
2) 단백질 혈액과 근육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성장에 필요한 호르몬의 원료가 되기도 한다. 단백질이 많은 식품은? 우유를 포함한 유제품(유제품에는 칼슘도 풍부하므로 중요) 콩으로 만든 식품 : 두유, 두부, 콩 생선 : 단백질이 많으나 지방도 많은 육류 대신 생선이 좋다. 달걀 메밀 : 메밀냉면, 메밀묵(쌀보다 단백질이 훨씬 많고 비타민도 풍부)
3) 비타민과 무기질류 비타민 D는 소장에서의 칼슘 흡수를 촉진시켜 뼈로 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비타민 K의 경우도 성장촉진인자로서 성장에 관여한다. 비타민 B류는 에너지 대사과정 중의 조효소로 쓰일 뿐 아니라 조혈 비타민으로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성장촉진에 필요한 체내 작용에 꼭 필요하다. 비타민류는 부족할 경우 여러 가지 질병을 유발하므로 골고루 필요량을 섭취해야 한다. 무기질류 중 칼슘, 인 및 마그네슘 등은 주로 뼈를 구성하는 중요한 영양소인 동시에 키 크는 데 필요한 각종 대사 반응에 필수적이다.
비타민 B가 많은 식품은? 과일류, 현미, 유산균
비타민 D가 많은 식품은? 버섯류, 간, 계란, 음식은 아니지만 적당량의 햇빛을 받으면 피부에서 합성됨.
(3) 성장에 좋지 않은 식품
칼슘의 흡수를 방해하는 술, 담배는 물론이고 콜라, 사이다 등의 탄산음료, 커피 등의 카페인 음료, 패스트푸드나 자극적인 식품은 성장에 좋지 않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