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건강방

"식품 속 영양소 알아보기" (단백질)

탤런트 2008. 2. 4. 18:27

  II. 단백질
1) 단백질이란?
단백질은 인체 구성 성분 중 물 다음으로 많이 차지하고 있는 물질로서 모든 세포 조직의 성장, 유지 및 보수에 필요한 기초 물질로서 근육, 뼈, 피부, 피 등을 만들며 호르몬이나 효소를 만드는데 필요한 영양소이다.(에너지공급 : 4㎉/g)
단백질은 소화되어 아미노산으로 분해 된 후 소장에서 흡수 되는데 아미노산에는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음식으로부터 꼭 섭취해야 하는 8가지 아미노산이 있는데 필수 아미노산이라 한다.

완전 단백질이라 하는 것은 8개의 아미노산을 모두 갖춘 식품으로서 주로 동물성 식품이 이에 속하는 반면 식물성 식품은 한두 가지 필수 아미노산이 부족하여 불완전 단백질이라 불린다.
2) 단백질의 상호 보완
  식품마다 포함된 필수아미노산의 양과 종류가 다르므로 고르게 섭취하여 단백질의 질을 보완함.
3) 단백질의 섭취방법
  대부분 우리 나라 성인에게 안전한 1일 단백질 섭취량은 평균 체중 ㎏당 1.13g 정도 이다.
  고단백질 식사를 위주로 했던 사람의 경우
  ① 동물성 단백질 식품의 섭취량을 반으로 줄이고 생선, 계란, 유제품, 살코기로 먹도록 하며,
  ② 콩 제품의 식물성 단백질 식품의 섭취를 늘리도록 한다.
4) 단백질과 건강
  섭취 과잉
  ① 단백질 위주의 식사를 하게 되면 그 대부분이 동물성이기 때문에 과잉의 육류 섭취는 비만이 되기가 쉽고 고기에 포함된 포화지방산은 주로 고혈압, 심장병과 관련이 되어 있다.
  섭취 부족
  ① 단백질과 충분한 열량을 제공하지 못한 식사를 하면 단백질-열량 영양불량이라는 영양부족증 증상을 나타내게 된다. 주로 어린아이에게서 두뇌 활동 저하, 빈혈 등이 많이 일어나고 성인의 경우 암, 결핵, 식욕감퇴증, 신장과 간질환 같은 질환의 2차 증상으로 많이 나타난다.

이 포스트를..

덧글 1개 엮인글 쓰기

"식품 속 영양소 알아보기" (탄수화물) 건강상식

2005/09/02 14:54

http://blog.naver.com/nasamoon/16831211

우리가 매일 먹는 식품들...
그 속에는 어떤 영양소들이 들어 있을까?
균형 있는 영양 섭취가 될 수 있도록 바르게 알고 먹읍시다.

6가지 식품군은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과일군이다.
균형 있는 영양섭취를 위해서는 식품을 골고루 먹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번에는 3대 영양소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과 식이섬유, 물에 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I. 탄수화물(당질)
1) 탄수화물이란?
대부분의 탄수화물은 포도당으로 바뀐 후 체내에서 이용되며 1g당 4㎉의 에너지를 제공한다. 우리 식생활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총에너지 섭취중 65%가 적당)하고 있는 탄수화물은 우리 몸에서 소화 및 흡수가 쉽고 체내에서 독성물질을 만드는 일도 매우 드문 열량 영양소이다.
2) 탄수화물의 종류
분 류 대표적 당류 풍부한 식품
단당류 포도당, 갈락토오즈, 과당 사탕수수, 엿당, 과일즙의 분해물
소당류 이당류(맥아당, 유당, 자당) 식혜, 유즙, 설탕
삼당류(라피노오스) 올리고당
다당류 섬유소, 펙틴 채소류, 두류, 밥, 국수, 과일류(사과, 바나나, 감귤)
3) 올바른 탄수화물의 섭취방법
  탄수화물은 우리 몸에서 몸의 일부를 구성하지만, 대부분은 우리가 활동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만든다. 탄수화물을 많이 섭취하고 활동을 적게 하면 몸 속에서 지방으로 변하여 살이 찌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흰쌀밥보다는 거친 통 곡식으로 현미와 콩이 들어간 식사를 주로 한다.
  에너지 급원 외에 다른 영양소가 거의 없는 흰 설탕, 흰밀가루, 흰쌀의 섭취를 줄인다.
  단 음식을 만들려면 설탕 대신 꿀이나 엿을 이용한다.
4) 탄수화물과 건강
  당뇨
    당뇨병은 비만, 유전적인 요인, 불규칙한 식습관, 스트레스, 신체적인 손상 등의 이유로 식사에서 섭취된 혈액중의 포도당이 에너지로 이용되지 못해 혈액 중에 포도당이 쌓여(고혈당 상태) 그결과 소변으로 당이 빠져 나오는 것을 말한다.
       ①식사요령
       - 당질은 주로 곡류에서 섭취하고 설탕이나 꿀 등 단순당질은 피한다.
       - 고단백 식사를 한다.
       - 열량을 적게 내면서 섬유소가 풍부한 식품은 혈당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자유롭게 먹을 수 있다.(채소류, 해조류, 맑은 육즙, 곤약등)
  유당불내증
    유당의 소화효소인 유당 분해효소의 부족으로 소화를 시키지 못해 우리 몸에서 이용하지 못해 생기는 증상이다. 소장에서 흡수되지 못한 유당은 대장에서 박테리아에 의해 부패되어 산과 가스를 생성시켜 헛배가 부르고 가스가 차며, 설사와 복통의 증상을 나타낸다.
       우유를 대신할수 있는 유제품을 섭취한다.
       (치즈나 요구르트, 유당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유당을 분해시킨 저락토오스 우유)